티스토리 뷰
목차
전통시장 필수템! 온누리상품권 통합 앱 하나로 카드형·모바일형 OK
2025년, 디지털로 더 쉬워진 온누리상품권 사용법 총정리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거나 명절 선물을 준비할 때, 한 번쯤은 들어봤을 온누리상품권!
이제는 종이, 카드형, 모바일형까지 모두 하나의 통합 앱에서 사용 가능해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대 10% 할인 + 최대 40% 소득공제 혜택까지!
이 포스팅을 통해 온누리상품권 할인 및 소득공제, 혜택 그리고 최신 개편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온누리상품권이란?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정부지원 상품권 제도입니다.
소비자는 할인 혜택을 받고, 상인은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상생형 소비지원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현재 온누리상품권은 아래 3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지류 상품권 | 전통적인 종이형 상품권. 일부 시장이나 점포에서만 사용 가능 |
💳 카드형 상품권 | 개인의 신용·체크카드와 연동되어 POS 결제 가능 |
📱 모바일형 상품권 | 앱을 통해 QR코드 또는 바코드 결제 방식으로 사용 가능 |
✅ 온누리상품권 하나의 앱으로 통합
기존에는 카드형과 모바일형을 각각 별도 앱에서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있었는데요,
이제는 하나의 통합 앱으로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개편되었습니다!
📱 통합 앱 주요 기능
- 카드형, 모바일형 잔액 통합 확인
- 카드 자동 등록 및 연동
- QR코드 스캔 결제
- 할인 혜택 알림 및 소득공제 자동 적용
💡 기존 사용자는?
별도 신청 없이도 기존의 카드형, 모바일형 잔액이 자동 이관되어 새로운 앱에서도 사용 가능!
✅ 구매 혜택 정리
💰 할인율 | 상시 10% 할인 (구매한도 내) |
🎉 명절 이벤트 | 최대 15% 할인 행사 및 캐시백 |
🧾 소득공제 | 카드형 사용 시 최대 40% 소득공제 가능 |
💳 실적 인정 | 카드형은 실적도 반영되어 각종 카드 혜택 유지 가능 |
✅ 예시: 100,000원 충전 → 90,000원 결제 + 소득공제까지 받으면 실질 체감 할인율 ↑
✅ 사용 방법 (모바일 기준)
- 디지털 온누리 통합 앱 다운로드
- 회원가입 및 카드 연동
- 카드 등록, 본인 인증 후 기존 잔액 자동 연결
- 상품권 구매
- 할인 적용 후 충전 (1일/월 한도 있음)
-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결제
- 가게의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앱에서 바코드 생성
- 카드형은 일반 카드처럼 단말기 결제
- 소득공제 자동 적용
- 연말정산 시 별도 서류 필요 없이 자동 반영
✅ 온누리상품권 사용 후기
🧺 시장 상인 A씨 | “예전보다 젊은 손님이 많아졌어요. QR 결제는 저희도 편해요.” |
👩🍳 30대 직장인 B씨 | “부모님과 전통시장 갈 때 앱 하나로 카드결제하니 너무 간편해요.” |
👨👩👧👦 40대 주부 C씨 | “명절 선물살 때는 무조건 온누리! 15% 할인받고 배송까지 되니 최고죠.” |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카드형/모바일형 온누리상품권, 둘 다 써야 하나요?
A. 이제는 하나의 통합 앱에서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소비 습관에 맞춰 선택하시면 됩니다.
Q. 온라인에서도 쓸 수 있나요?
A. 네! 일부 온라인 전통시장몰과 온누리 가맹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배송 상품 구매도 OK!
Q. 전통시장 아닌 일반 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나요?
A.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된 곳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처 확인은 앱 내에서 가능합니다.
✅ 마무리하며
전통시장도 디지털 시대!
온누리상품권 통합 앱 하나면 카드형, 모바일형 모두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10~15% 할인 + 소득공제까지 혜택이 가득합니다.
전통시장 장보기를 더 즐겁고 알뜰하게 만들고 싶다면,
지금 바로 디지털 온누리 통합 앱을 설치해 보세요!
땡겨요 입점시 쿠폰지원금 최대 40만원 지원
가게 사장님이라면 주목! 땡겨요 입점하면 최대 40만원 쿠폰 지원 받는 찬스소상공인을 위한 착한 배달앱신한은행의 ‘땡겨요’가 입점 사장님을 위한 파격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one.j-nest.com
2025년 노인 일자리 공공근로 총정리!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보기
2025년 노인 공공근로 일자리 총정리 공공근로 일자리 어떻게 신청하고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오늘은 65세 이상(일부 사업 60세 이상 참여 가능) 어르신들이 참여하실 수 있는 공공근로
one.j-ne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