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1. 고의·과실에 따라 다른 처벌 수위
◼ 고의로 불을 낸 경우 (방화죄)
- 형법 제164조~166조:
문화재·주거지·산림에 대한 방화는
▸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형
▸ 사람 사망 시 사형, 무기징역 가능
▸ 미수범도 처벌
◼ 과실(부주의)로 불이 난 경우 (실화죄)
- 형법 제171조(실화죄):
▸ 3년 이하 금고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형법 제172조(중실화죄):
▸ 중대한 과실일 경우 처벌 수위는 같지만
책임은 더욱 무겁게 판단
🏚 2. 민가가 피해를 본 경우
피해자가 많아지면 집단 손해배상 청구로 이어집니다.
- 피해 범위: 주택, 창고, 가축, 농작물, 생계 수단 등
- 손해배상금 수십억 원대 가능
- 가해자가 고의일 경우, 형사 처벌 + 민사 배상 병행
🏛 3. 문화재가 피해를 본 경우
문화재는 국가 보호 대상이기 때문에 특별법 적용을 받습니다.
◼ 「문화재보호법」 제90조~제93조
문화재 방화 | 문화재보호법 제92조 |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 |
실화로 소실 | 문화재보호법 제93조 | 2년 이하 금고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 국보, 보물, 등록문화재 등은 국가적 손실로 간주
🌲 4. 산림 보호 관련 법률
◼ 「산림보호법」 제53조~제54조
허가 없이 산림에서 불 피움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
산불로 1ha 이상 소실 |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 |
📌 예시: 실화로 인한 중형 사례
2023 강원 동해 산불 | 80대 노인이 논두렁 소각 → 산림 140ha 피해 → 징역 5년 구형 |
2022 경북 울진 대형 산불 | 전선 스파크로 인한 발화 → 문화재·민가 피해 → 한국전력 배상 책임 인정 |
2019 강릉 산불 | 불법 쓰레기 소각 → 산림·민가 120채 피해 → 벌금형 + 민사 손해배상 청구 |
✅ 요약 정리
🔥 산불 고의 | 형법 + 산림보호법 | 무기~징역형 |
🔥 산불 실화 | 실화죄/중실화죄 | 벌금~금고형 |
🏠 민가 피해 | 민사책임 | 전액 손해배상 |
🏛 문화재 피해 | 문화재보호법 | 무기 or 7년 이상 징역 |
📢 한마디
한순간의 부주의가 평생의 빚과 사회적 처벌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특히 불법 소각, 담뱃불 투기, 화목보일러 관리 소홀 등이
산불로 이어지는 일이 잦기 때문에,
평소 각별한 주의와 공공 책임 의식이 필요합니다.
의성 산불 피해 이재민 필수 구호품 정리
예상치 못한 산불은 모든 것을 순식간에 앗아가고 맙니다.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아픔이 이어지는 지금,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구호”입
issue.j-nest.com
반응형